728x90

도커 7

[Docker] 도커를 통한 3-tier 구조 구축

1. DB: MariaDB (PORT 3306) [Docker] 도커에 MariaDB 설치하기 docker pull mariadb mariadb 이미지를 내려받는다. docker images mariadb 이미지가 잘 받아졌는지 확인한다. docker run -p 3306:3306 --name mariadb -e MARIADB_ROOT_PASSWORD={비밀번호} -d mariadb -p 3306.. da2uns2.tistory.com [MariaDB] MariaDB 시작하기 - 테이블 만들고 조회하기 환경은 Docker 입니다. (+ 명령 프롬프트) docker exec -it mariadb /bin/bash mariadb 컨테이너 실행하기 mysql -u root -p db 접속하기 show data..

Infra/Docker 2021.12.02

[Docker] 도커 컨테이너 외부 통신: host.docker.internal

도커 컨테이너에서 localhost를 실행하면 컨테이너 내의 localhost이므로 PC의 localhost(127.0.0.1)와는 다르다. 그럼 PC의 localhost와 통신하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할까? host.docker.internal을 이용하면 된다. PC localhost에 8080번 포트를 통해 웹 서버를 띄워놓고 확인을 해보겠다. apt-get update apt-get install curl 도커 컨테이너에서 통신 확인을 위해 curl을 설치한다. curl localhost:8080 curl: (7) Failed to connect to localhost port 8080: Connection refused 도커 네트워크 내에서는 8080번 포트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당연히 연결이 거부된..

Infra/Docker 2021.12.01

[Jenkins] Docker 환경에서 git 배포 (springboot - jar)

※ 깃허브를 이용하지 않고, 도커에 만들어둔 깃 서버로부터 배포 자동화할 것이다. 1. 깃 서버 컨테이너 구축 [Docker] CentOS 깃 서버(Git Server) 컨테이너 구축하기 다른 컨테이너의 작업물을 깃 서버 컨테이너에 올릴 수 있도록 할 것이다 [CentOS] Linux Git Server 구축하기 목차 1. Git 설치 2. 저장소 생성 3. 계정 생성 4. git 서버로 키 등록 5. 테스트 1. Git 설치 yum i. da2uns2.tistory.com 2. 젠킨스 컨테이너 구축 docker run -d --privileged -p 8091:8080 -u root --name myjenk jenkins/jenkins:lts jenkins/jenkins:lts 이미지를 통해 쉽게 구축..

Infra/Jenkins 2021.11.30

[Docker] CentOS 깃 서버(Git Server) 컨테이너 구축하기

다른 컨테이너의 작업물을 깃 서버 컨테이너에 올릴 수 있도록 할 것이다 [CentOS] Linux Git Server 구축하기 목차 1. Git 설치 2. 저장소 생성 3. 계정 생성 4. git 서버로 키 등록 5. 테스트 1. Git 설치 yum install git root 계정으로 로그인한 후, yum install git을 입력하면 설치가 시작된다. 중간중간 Is this ok [y.. da2uns2.tistory.com 다음 글을 참고해 깃 서버를 구축할 것이다. docker run --privileged -d --name mycent7 centos:7 init centos 환경에서 깃 서버를 구축하기 위해 먼저 centos 이미지를 통해 컨테이너를 생성한다. docker exec -it my..

Infra/Docker 2021.11.22

[Docker] Apache - Tomcat(SpringBoot) 연동하기 (mod_jk)

Web Server와 WAS(Web Application Server)의 분리를 위해, Web Server인 Apache와 WAS인 Tomcat을 연동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Web Server vs WAS 먼저, Web Server와 WAS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자. 웹 서버는 정적인 컨텐츠(html, css, js)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ex) Apache, Nginx WAS는 DB 조회나, 어떤 로직을 처리해야 하는 동적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ex) Tomcas, Jeus 즉, 웹서버와 WAS의 차이는 어떤 타입의 컨텐츠를 제공하느냐의 차이이다. 웹서버와 WAS는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대부분의 WAS는 정적인 컨텐츠를 제공해주고 있기 때문에, 웹 서버 없이 WAS만..

Infra/Docker 2021.11.19
728x90